google-site-verification=OALmL9AUCbsuB4UzG162DXcP9FX0pnI03_NulKWk_nI 거짓말 해도 괜찮은 정치인?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거짓말 해도 괜찮은 정치인?

by fafrfu2 2025. 3. 28.

거짓말 해도 괜찮은 정치인?

 “이재명 2심 무죄… 하루 만에 검찰, 대법원에 넘겼다”

 

핵심 요약 3줄 정리

  •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2심에서 무죄
  • 검찰, 바로 다음 날 상고장 제출 → 대법원으로
  • 핵심 쟁점: ‘허위사실’ 기준과 판사의 해석 차이

 요즘 이런 말, 들어보셨죠?

“이재명 2심에서 무죄래. 근데 검찰이 바로 상고했다던데?”
“1심 유죄, 2심 무죄, 이젠 대법원이냐?”
이거 그냥 정치인 재판일 뿐일까요?
판결 해석, 판사 성향, 선거제도 신뢰까지 다 얽힌 이슈입니다.


 왜 중요한가요?

이건 단순한 법적 다툼이 아니에요.
국민이 후보자의 말을 믿고 투표할 수 있느냐, 그 기준을 세우는 판결입니다.

✅ 1심: 벌금 150만 원 → 유죄 → 당선무효형
✅ 2심: 무죄 → 의원직 유지
✅ 검찰: “법리 오해, 상식과 괴리됐다”며 즉시 상고

👉 결국 이 판결이 정치인의 거짓말 어디까지 허용되나라는
‘국민의 판단 기준’을 만들 수 있는 선례가 된다는 거죠.


 타임라인 정리해보면

날짜내용
2022.9 검찰,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이재명 기소
2023.11 1심: 유죄 (벌금 150만 원) → 당선무효 위기
2024.3.26 2심: 무죄 → “표현의 자유, 허위 아냐” 판단
2024.3.27 검찰: “경험·상식과 괴리된 판결”이라며 대법원에 상고
~6.26 예정 공직선거법상 대법원 선고 기한 (3개월 내)

 쟁점 핵심 요약

검찰은 왜 반발했을까요?

① “1심이 배척한 주장만 믿었다”
→ 재판부가 1심의 치열한 검토를 무시하고, 피고인 주장을 막연히 수용했다고 주장

② “허위발언인데 표현의 자유라고?”
→ “‘검찰이 조작했다’는 건 허위다”, “국토부가 협박했다는 것도 과장”
→ 발언을 너무 관대하게 해석해 허위사실공표죄 기준을 무너뜨렸다고 봄


 2040 시선으로 풀어보자

이게 우리랑 무슨 상관이냐고요?

후보자가 거짓말을 해도, ‘표현의 자유’라고 하면 무죄가 된다?
→ 유권자 입장에선 믿고 투표하기 어려워짐

사법부 판단이 정권·성향 따라 달라진다?
→ “내가 법적 분쟁 얽힐 때도 공정하게 받을 수 있을까?”
→ 신뢰의 문제로 직결

6월 전 대법원 결론 나야 함 → 총선 앞두고 ‘정치적 불씨’ 남을 가능성


 한 줄 인사이트

“정치인의 말에도 책임이 따르고, 법원의 판결엔 국민 눈높이가 따라야 한다”


📎 참고 링크

 

“향후 선거, 얼마나 정교한 거짓말 하느냐가 당락 가를 것”

향후 선거, 얼마나 정교한 거짓말 하느냐가 당락 가를 것 이재명 거짓말 무죄 판결에 각계서 사회적 후폭풍 우려

www.chosun.com

 

이재명 정치 운명 가른 판례들…“발언 의도 확대해석 말아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선거법 위반 사건을 심리한 1심과 2심 재판부는 모두 대법원 판례를 제시하며 판결문을 썼지만 결론은 정반대로 갈렸다. 두 재판부는 정치인 발언의 해석 방식을 달

ww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