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기후동행카드, 이대로면 더 큰 적자…가격 인상해야” 서울시에 공식 건의
“무제한 타면 적자도 무제한?” 교통복지냐, 재정건전성이냐… 기로에 선 ‘기후동행카드’
① 왜 적자가 더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인가?
기후동행카드 요금이 오를 가능성, 서울교통공사가 서울시에 공식 건의했다는 사실,
그리고 왜 적자가 더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인지까지 오늘 제대로 정리해볼게.
② 요즘 이 뉴스 봤어?
“6만5천 원이면 지하철·버스·따릉이 무제한!”
얘들아, 이 말에 혹해서 기후동행카드 쓴 친구들 많지?
근데 말이야, 서울교통공사가 이 카드 가격을 올려야겠다고 서울시에 건의했어.
이유는? 적자가 심각하다는 거지.
그럼 기후동행카드가 적자를 키우는 주범이라고?
이걸 제대로 이해하려면 교통공사 재정구조, 그리고 이 카드의 특수성을 알아야 해.
③ 왜 중요한가요?
얘들아, 이건 단순한 교통요금 문제가 아니야.
✅ 내 교통비 지출, 앞으로 얼마나 늘어날지에 직접 연결되는 문제고
✅ 공공요금 전반의 인상 압력으로 번질 수도 있어
✅ 기후 정책의 방향성과 신뢰성까지 흔들릴 수 있는 사안이야
즉, "적자 → 카드 가격 인상 → 대중교통 요금 인상" 압력이라는 연쇄반응이 올 수 있다는 말이야.
내 월급은 그대로인데, 교통비는 계속 오르면 이건 체감 물가 상승 그 자체지.
④ 팩트 정리
사건 타임라인 한눈에 보기
2024.03.31 | 서울교통공사, 이사회서 “기후동행카드 운임도 함께 올려야” 건의안 채택 |
2024.05 예정 |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 150원 인상 예정 (1400원 → 1550원) |
최근 | 서울시의회에서도 기후동행카드로 인한 적자 구조 지적 |
과거 | 전문가들 “보조금 카드 확산은 요금 인상 부추길 수 있어” 경고 |
적자 상황, 얼마나 심각하길래?
2023년 적자 추산액 | 7228억 원 |
누적 적자 총액 | 7조 3360억 원 |
2028년 예상 적자 | 1조 705억 원 |
2028년 누적 부채 전망 | 10조 원 돌파 |
기후동행카드, 뭐가 문제?
- 정기권 형태: 1회 결제로 30일간 지하철·버스·따릉이 무제한
- 요금: 일반 6만5000원, 만 39세 이하 5만8000원
- 이용 가능 노선: 서울지하철 전 노선 + 경춘선, 김포골드라인 등 수도권 일부 + 서울 시내·마을버스 + 따릉이
➡ 이렇게 많고, 무제한으로 탈 수 있으니 이용자는 편하지만, 공급자 입장에서는 수익이 적고 비용만 커지는 구조야.
⑤ 자, 이제 우리 입장에서 보자
내 삶에 어떤 영향을 줄까?
- 교통비 부담 증가 가능성
👉 지금은 ‘혜자템’ 같지만, 가격 오르면 그만큼 부담 커짐 - 다른 공공요금 인상에도 영향
👉 적자 해소 논리로 수도요금, 전기요금도 들썩일 수 있어 - 정책에 대한 신뢰도 하락 우려
👉 “기후 위해서 만든 카드라며?” 그런데 요금 인상? → 정책 방향 흔들림 - 외국인 관광객도 대상? 형평성 논란
👉 일부 시의원은 “왜 서울시민 세금으로 외국인도 싸게 태우냐”고 문제 제기
정리하며 한마디
얘들아, 이건 단순히 카드 요금 5천 원 더 내는 문제가 아니야.
“공공재를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
“기후 정책과 재정 건전성 사이의 균형”,
그리고 “누가, 무엇을 위해 돈을 더 내야 하는가”라는 질문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