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76:76 균형 깨졌다! 민주당, 재보선 전석 '싹쓸이'
오늘 배울 핵심은 이거야
- 2025. 4.2 경기도의회 재보궐선거에서 누가 이겼는지
- 기존 ‘76:76 균형’이 왜 중요한지
- 이 결과가 지역 정치와 정책에 미치는 영향
얘들아, 4월 2일에 재보궐선거가 있었던 거 알지?
뉴스 안 봤으면 지금부터라도 꼭 집중해야 돼.
왜냐면 이번 선거 결과 하나로, 경기도의회가 완전히 뒤집혔거든.
그동안 여야 76:76 동수였던 경기도의회.
민주당이 딱 두 석을 가져가면서
의회 판도가 싹 달라졌어.
왜 중요한가요?
얘들아, 이건 단순한 지역 보궐선거 결과가 아니야.
정책이 통과되냐, 막히냐를 결정짓는 '숫자 싸움'의 분수령이었어.
자, 현실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냐면
상황여야 동수 (76:76) 민주당 우위 (78:76)
예산안 통과 | 협치 없인 불가능 | 민주당 단독 처리 가능 |
조례 제정 | 협상 필수 | 밀어붙이기 가능 |
의장단 구성 | 교착상태 | 주도권 확보 |
✅ 정책 추진력, ✅ 지역 예산 배정, ✅ 주요 의회 의결까지
모든 게 민주당이 원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게 된 거야.
선거 결과 & 맥락
이번 재보선은 경기도의원 선거구 두 곳에서 진행됐어.
표로 깔끔하게 정리해줄게
4.2 경기도 재보궐선거 결과
선거구 당선자 정당득표율 상대후보
성남 분당구 | 김진명 | 더불어민주당 | 53.38% | 이승진 (국민의힘) |
군포시 | 성복임 | 더불어민주당 | 58.25% | 배진현 (국민의힘) |
선거 배경 요약
지역사유
분당구 | 개혁신당 이기인 전 의원 총선 비례 출마로 사퇴 |
군포시 | 김판수 전 민주당 의원 별세 |
이번 결과로 경기도의회는 민주당 78석, 국민의힘 76석,
드디어 민주당이 ‘단독 과반’ 넘은 다수당이 된 거야.
"지역의회가 왜 중요하냐고?"
얘들아, 이제 우리 입장에서 보자.
“도의회가 바뀌면 내 삶이 뭘로 바뀌는데?” 싶지?
정리해줄게
지역정치가 내 삶에 미치는 영향
분야변화 포인트
🏠 지역 예산 | 도로 정비, 문화시설, 학교 지원 예산 등 민주당 중심 배정 가능 |
🧒 복지 정책 | 무상급식, 청년 지원, 경기도형 복지 정책 가속화 가능 |
🚌 교통 정책 | 광역버스, 대중교통 예산 늘릴지 줄일지 결정 가능 |
🧾 세금 사용 | 어느 지역에 얼마 쓰는지, 정당에 따라 ‘우선순위’ 달라짐 |
그리고 더 중요한 건, 이 결과가 총선 전 ‘정치 바람’의 방향을 예고한다는 점이야.
✅ 오늘의 정리
얘들아, 시험에 나올 핵심은 이거야
- 경기도의회는 원래 76:76 여야 동수 상태
- 이번 재보선에서 민주당이 2석 다 가져가면서 다수당 등극
- 이제부터는 민주당 단독으로 조례·예산 처리 가능
정치 뉴스가 멀게 느껴질 수 있어.
하지만 지역 정책, 복지, 교통, 생활 인프라까지 이 숫자 싸움 하나로 완전히 바뀌는 거야.